상설전시

2019년 개편 상설전시 안내
'보는' 전시? '듣는' 전시!

국악뜰

전정(殿庭), 궁궐의 뜰은 예를 갖춘 만남의 마당(場)이었다. 음악이 수반될 때에는 격에 맞는 악대 편성도 이루어졌다.
예(禮)로 절도있게 하고 악(樂)으로 조화롭게 하는 화합(和合)의 마당이다. 궁중의례 편성악기 중 가장 큰 규모의 악기들이 <국악뜰>에 자리를 잡고 의례절차와 합주음향에 가려졌던 각각의 소리를 들려준다.
소리와의 만남이 이 전시의 관건이므로, 최고 품질의 음악감상을 첫 번째 마당의 으뜸으로 내세웠다.
13.1 채널[14개 스피커]에 4K UHD[Ultra High Definition: 3840×2160] 고화질 영상으로 국립국악원이 연주한 영산회상, 남도시나위, 종묘제례악 등의 연주를 보고 들을 수 있다.
악기, 악보, 음악인 등 음악을 이루는 요소에 대한 탐색에 앞서, 음악 그 자체의 아름다움을 만나는 것으로 듣는 전시의 문을 연다.

이전
다음
축 이미지
축(祝, Chuk)
박 이미지
박(拍, Bak)
어 이미지
어(?, Eo)
건고 이미지
건고(建鼓, Geongo)
진고 이미지
진고(晋鼓, Jingo)
특종 이미지
특종(特鐘, Teukjong)
특경 이미지
특경(特磬, Teukgyeong)
편종 이미지
편종(編鐘, Pyeonjong)
편경 이미지
편경(編磬, Pyeongyeong)
삭고 이미지
삭고(朔鼓, Sakgo)
응고 이미지
응고(應鼓, Eunggo)
방향 이미지
방향(方響, Banghyang)

소리품

'소리'는 '빛'과 더불어 가장 오랜 역사이고 떨림이다.
『악학궤범(樂學軌範)』(1493)에, '악(음악)은 하늘에서 나와 사람에게 맡겨진 것'이라 하였다.
사람의 마음을 통과한 '의미 있는 떨림과 움직임(波動)'이 음악이라면, 소리품은 바로 이 음악 이전의 소리, 특히 한반도의 소리가 한국인의 감수성을 통과하기 이전의 만남을 듣는 특별한 전시실이다. 비, 바람, 천둥, 번개, 파도, 폭포, 갈대, 억새, 여치, 매미, 귀뚜라미 등 자연과 생명의 소리 한국인의 삶과 염원이 담긴 다듬이질 소리,
맷돌 가는 소리, 장작 타는 소리, 독서성, 치성소리, 공양소리 등 어디서나 들을 법하지만 유일한, 이 땅의 음악 재료들이다.
그림 같은 풍광이 소리와 함께 채집되긴 하였으나(소리 채집가 김영일이 지난 13년간 이 땅의 소리를 찾아 녹음하며 시각기록을 함께 남기기도 하였다.) 소리품은 오로지 귀로 듣는 '소리'의 전시실이므로 소리가 노래로, 악기로, 몸짓으로 발현되는 과정은 관람객의 상상력이 그려낼 일이다.

이전
다음
소리품 전시실 전경 이미지
소리품 전시실 전경(View)
소리품 전시실 전경 이미지
소리품 전시실 전경(View)
소리품 전시실 전경 이미지
소리품 전시실 전경(View)
소리품 전시실 전경 이미지
소리품 전시실 전경(View)
소리품 전시실 전경 이미지
소리품 전시실 전경(View)

악기실

악기(樂器)는 음악을 담는 그릇이다.
나라마다, 지역마다, 민족마다 자신들의 음악에 맞는 그릇으로 악기를 만들고 변천시켜 왔다.
그러므로 '그 곳의 악기'는 '그 곳의 음악'이기도 하다. 국악기 역시 이 땅의 음악에 가장 적합한 형태로 존재해 왔다. 전통시대에 외국에서 유입된 대부분의 음악은 우리의 음악미감과 우리 악기주법에 맞도록 적응하거나 토착화 되었으며,
외래 악기로 수입되었던 악기들 역시 우리음악 연주에 최적화되어 정착했다.
악기는 음악계통, 제작재료, 소리나는 원리, 연주방법 등 여러 가지 기준으로 나눠볼 수 있는데, 이 곳 악기실에서는 관악기/현악기/타악기 분류를 택했다.
현전 악기에 앞선 고대 악기의 편린과 더불어, 다양한 관·현·타악기 실물을 살펴봄으로써 무형의 청각 정보 '음악'과 유형의 시각 사물 '악기' 간의 긴밀한 연계를 탐색한다.

이전
다음
월평동 발굴 양이두 이미지
월평동 발굴 양이두(羊耳頭, Yangidu (replica)) 6~7세기 추정 (1994~1995년 발굴)
양이두 (복원) 이미지
양이두 (복원)(Yangidu (restored))
요고 이미지
요고(腰鼓, Yogo)
창녕 화왕산성 연지 출토 북 (복제) 이미지
창녕 화왕산성 연지 출토 북 (복제)(大鼓, A drum excavated from Hwawangsanseong Fortress in Changnyeong (replica)) 9세기 추정 (2005년 발굴)
창녕 화왕산성 연지 출토 북 (복원) 이미지
창녕 화왕산성 연지 출토 북 (복원)(大鼓, A drum excavated from Hwawangsanseong Fortress in Changnyeong (restored))
소 이미지
소(簫, So)
훈 이미지
훈(塤·壎, Hun)
지 이미지
지(?, Ji)
약 이미지
약(?, Yak)
적 이미지
적(?, Jeok)
생황 이미지
생황(笙簧, Saenghwang)
소금 이미지
소금(小?, Sogeum)
대금 이미지
대금(大?, Daeguem)
단소 이미지
단소(短簫, Danso)
퉁소 이미지
퉁소(洞簫, Tungso)
향피리 이미지
향피리( [??, ??] 鄕??, Hyangpiri)
당피리 이미지
당피리(唐??, Dangpiri)
세피리 이미지
세피리(細??, Sepiri)
쌍피리 이미지
쌍피리(雙??, Ssangpiri)
태평소 이미지
태평소(太平簫, Taepyeongso)
나발 이미지
나발(喇叭, Nabal)
나각 이미지
나각(螺角, Nagak)
고동 이미지
고동(Godong)
풀피리 이미지
풀피리(草笛, Pulpiri) 21세기
양금 이미지
양금(洋琴, Yanggeum) 20세기
부 이미지
부(缶, Bu)
용고 이미지
용고(龍鼓, Yonggo)
소리북 이미지
소리북(Soribuk)
장구 이미지
장구(杖鼓, Janggu)
제주 무속장귀(제주 무속장구) 이미지
제주 무속장귀(제주 무속장구)(Shaman ritual janggu for Chilmeoridangyeongdeunggut on Jeju Island) 20세기
밀양백중놀이 사장구 이미지
밀양백중놀이 사장구(砂杖鼓, Sajanggu used in Miryang Baekjungnori(Summer Festival in Miryang)) 20세기
꽹과리 이미지
꽹과리(小金, Kkwaenggwari)
징 이미지
징(鉦, Jing)
자바라 이미지
자바라(???, Bara)
운라 이미지
운라(雲?, Ulla)
벅구(소고) 이미지
벅구(소고)(小鼓, Sogo)
물장구 이미지
물장구(Muljanggu)
물허벅 이미지
물허벅(Mulheobeok)
테왁 이미지
테왁(Tewak)
뇌고 이미지
뇌고(雷鼓, Noego)
뇌도 이미지
뇌도(雷?, Noedo)
노고 이미지
노고(路鼓, Nogo)
노도 이미지
노도(路?, Nodo)
악기실 전경 이미지 이미지
악기실 전경 이미지(View)
악기실 전경 이미지 이미지
악기실 전경 이미지(View)

문헌실

악보는 음악의 창작·보존·재생 도구이다. 청각예술인 음악이 악보라는 형태로 시각화되는 것이므로, 악보를 기록하는 기보법 역시 음악의 특성에 따라 다른 형태로, 각자의 주된 목적에 맞게 개발되어 왔다.
우리음악을 기록한 악보는 크게, 관찬악보와 민간악보의 두 갈래로 나뉜다. 관찬악보는 국가차원에서 편찬한 악보들로 궁중 의례에 쓰인 음악을 주로 담았고, 민간악보는 개인이 제작하였으며 민간에서 연주된 음악을 담았다. 악보의 기록 방식, 기록 시기, 악곡 양식, 또는 악보에 담긴 편자의 글을 통해 당대의 음악관, 악곡의 변천과 파생, 연주법 변화와 같은 음악사적 흐름을 읽어낼 수도 있다. 악보(樂譜), 무보(舞譜), 악서(樂書), 도병(圖屛) 등의 '과거' 기록이, '지금' 귀에 들리는 음악으로 가까워지는 시간이다.

이전
다음
임인진연도병 이미지
임인진연도병(壬寅進宴圖屛風, Imin jinyeondobyeong Ten-panel screen describing the banquet held in Imin Year) 1902년
대악후보 이미지
대악후보(大樂後譜, Daeakhubo, Score of Great Music: Later Edition) 보물 제1291호 1759년
악학궤범 이미지
악학궤범(樂學軌範, Akhakgwebeom, Encyclopedia of Musical Canon) 1743년
삼죽금보 이미지
삼죽금보(三竹琴譜, Samjukgeumbo, Geomungo score written by Samjuk) 1841년
가곡원류 이미지
가곡원류(歌曲源流, Gagok wollyu, Score for lyrical songs written by Park Hyo-gwan and Ahn Min-yeong) 1876년
문헌실 전경 이미지 이미지
문헌실 전경 이미지(View)
문헌실 전경 이미지 이미지
문헌실 전경 이미지(View)
문헌실 전경 이미지 이미지
문헌실 전경 이미지(View)
문헌실 전경 이미지 이미지
문헌실 전경 이미지(View)
문헌실 전경 이미지 이미지
문헌실 전경 이미지(View)

아카이브실

기록(記錄), 특히 음악 기록은 녹음 기술의 발명 이후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지금 이 곳의 소리를 기록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아카이브(archive)는 '기록 보관', '자료 보관소', '자료 전산화' 등을 의미한다. 2007년 국립국악원에서 설립한 <국악아카이브>는, 전통음악·춤·연희를 기록한 음향·동영상 자료를 비롯하여,
국립국악원과 국내·외에서 생산된 각종 국악자료를 수집·보존·활용하고 있다. 2018년 말 기준 국악아카이브 보유자료 39만여 점 가운데, 가장 진귀한 기록물들과 국립국악원의 대표 무대작품을 아카이브실에서 감상한다.
국립국악원 국악아카이브에 자료가 축적됨에 따라 전시 중 새로운 자료를 추가로 접할 수 있는 열린 전시실이기도 하다.
실린더, SP, 8mm 슬라이드 필름 등 기록 매체 실물과 더불어, 이 매체들이 담은 지나간 '지금 이 곳' (이미지, 음원, 영상)을 마주한다.

이전
다음
가방식 실린더 축음기 이미지
가방식 실린더 축음기(Portable Cylnder Phonograph)
엘리엇 웨이스가버 콜렉션 중 제주민요 녹음 릴테이프, 기록지 이미지
엘리엇 웨이스가버 콜렉션 중 제주민요 녹음 릴테이프, 기록지(Reel tape recordings of Jeju Island folk songs and insert card from Elliot Weisgarber collection) 1968년
권오성 콜렉션 중 민요 채록 릴테이프 이미지
권오성 콜렉션 중 민요 채록 릴테이프(Reel-to-reel tapes containing folk songs from Kwon Oh-sung collection) 1960년대
최덕원 콜렉션 중 사진철 이미지
최덕원 콜렉션 중 사진철(Films and Photos from Choi Deok-won collection) 1976~1996
최덕원 콜렉션 중 전라남도 서남해안 민요 조사 음원 이미지
최덕원 콜렉션 중 전라남도 서남해안 민요 조사 음원(Tapes of folk songs collected in the southwestern coastal regions of South Jeolla-do Province from Choi Deok-won collection) 1980년대
한불 수교 130주년 기념 2015~2016 한불 상호교류의 해 공연 Press Kit 팸플릿 이미지 이미지
한불 수교 130주년 기념 2015~2016 한불 상호교류의 해 공연 Press Kit 팸플릿 이미지(The Press kit pamphlet for the performance commemorating the 130th year of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France, 2015-2016/ The Year of Korea France Exchange) 2015년 9월 18일(금)~19일(토) 20:00 / 프랑스 국립샤이오극장 장빌라드 대극장 / 출연: 국립국악원 정악단.무용단
한불 수교 130주년 기념 2015~2016 한불 상호교류의 해  공연 오픈 리허설 이미지 이미지
한불 수교 130주년 기념 2015~2016 한불 상호교류의 해 공연 오픈 리허설 이미지(Images of the open rehearsal stage of the performance commemorating the 130th year of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France, 2015-2016/ The Year of Korea France Exchange) 2015년 9월 18일(금)~19일(토) 20:01 / 프랑스 국립샤이오극장 장빌라드 대극장 / 출연: 국립국악원 정악단.무용단
한불 수교 130주년 기념 2015~2016 한불 상호교류의 해  공연을 위한 조명 디자인과 프랑스 파리 국립샤이오극장 전경 이미지
한불 수교 130주년 기념 2015~2016 한불 상호교류의 해 공연을 위한 조명 디자인과 프랑스 파리 국립샤이오극장 전경(Image of the Theatre national de Chaillot and Lighting design for the performance commemorating the 130th year of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France, 2015-2016/ The Year of Korea France Exchange) 2015년 9월 18일(금)~19일(토) 20:02 / 프랑스 국립샤이오극장 장빌라드 대극장 / 출연: 국립국악원 정악단.무용단
<꼭두> 국·영문 포스터 이미지
<꼭두> 국·영문 포스터(Korean and English version Poster of Kokdu) 2017년 10월 4일(수)~10월 22일(일) 국립국악원 예악당 / 작.연출: 김태용, 음악: 방준석 / 출연: 국립국악원 정악단.민속악단.무용단
<꼭두> 의상 스케치와 공연 이미지
<꼭두> 의상 스케치와 공연(Sketch of costume designs and scenes from Kokdu) 2017년 10월 4일(수)~10월 23일(일) 국립국악원 예악당 / 작.연출: 김태용, 음악: 방준석 / 출연: 국립국악원 정악단.민속악단.무용단
무대소품 <꼭두> 소품 '상여' 이미지
무대소품 <꼭두> 소품 '상여'(Funeral bier, performance props used in Kokdu) 2017년 10월 4일(수)~10월 24일(일) 국립국악원 예악당 / 작.연출: 김태용, 음악: 방준석 / 출연: 국립국악원 정악단.민속악단.무용단
<토끼타령> 팜플렛 이미지
<토끼타령> 팜플렛(Pamphlet of Tokki taryeong, the Song of Rabbit) 토끼타령 2016년 5월 13일(수) ~ 17일(일) /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 연출·대본: 지기학
의상스케치와 공연사진 이미지
의상스케치와 공연사진(Costume sketch and images from the performance) 토끼타령 2016년 5월 13일(수) ~ 18일(일) /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 연출·대본: 지기학
토끼 의상과 소품 이미지
토끼 의상과 소품(Rabbit costume and props) 토끼타령 2016년 5월 13일(수) ~ 19일(일) /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 연출·대본: 지기학
아카이브실 전경 이미지 이미지
아카이브실 전경 이미지(View)
아카이브실 전경 이미지 이미지
아카이브실 전경 이미지(View)

명인실

전통 예술 전승사에 있어서 20세기는 굴곡의 시기였다.
전통과의 단절 위기를 겪었고, 외래음악을 자주적으로 수용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아카이브(archive)는 '기록 보관', '자료 보관소', '자료 전산화'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시기에도 전통의 명맥을 지켜낸 예인들이 있고, 그들의 전성기 활동이 영상으로 남겨졌으며, 어려운 시기를 버텨낸 악기와 유품이 오늘에 전해졌다.
빛바랜 듯 보이지만 여전히 살아있는 소리들이다. 명인실은, 1940년대 이전 출생자이면서 유파를 남기거나 일가를 이룬 예인들을 궁중음악 분야와 민간음악 분야로 나누어 조명한다.
이들의 직계 후손이나 제자가 국립국악원에 기증·기탁한 악기, 음반, 악보, 사진 등을 주로 공개하였다.
앞선 세기 예인들의 자취에서, 새 시대 전통예술 향방의 좌표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전
다음
김천흥 춘앵무복 황초상1벌, 초록하피1개, 홍단금루수대1개, 바지저고리1벌, 한삼1쌍, 버선1컬레, 부용관1개 이미지
김천흥 춘앵무복 황초상1벌, 초록하피1개, 홍단금루수대1개, 바지저고리1벌, 한삼1쌍, 버선1컬레, 부용관1개(金千興 春鶯?服, Kim Cheon-heung's Chunaengmu dance costumes) 20세기
지영희 피리 이미지
지영희 피리(池瑛熙 ??, Ji Yeong-hui's Hyangpiri)
지영희 해금 이미지
지영희 해금(池瑛熙 奚琴, Ji Yeong-hui's Haegeum) 20세기
신제와 시나위조 등 해설모음 이미지
신제와 시나위조 등 해설모음(Manuscript of notes on sinje and sinawijo) 20세기
성창순 철현금 이미지
성창순 철현금(成昌順 鐵絃金, Seong Chang-sun's Cheolhyeongeum) 20세기
안비취 꽹과리와 채 이미지
안비취 꽹과리와 채(安翡翠 小金, An Bi-chwi's Kkwaenggwari and beater) 20세기
안비취 공연 포스터 이미지
안비취 공연 포스터(An Bi-chwi's Concert poster)
성계옥 진주검무 무복과 무구 (전립, 한삼, 무검) 이미지
성계옥 진주검무 무복과 무구 (전립, 한삼, 무검)(成季玉 晋州劍舞 巫服·巫具, Seong Gye-ok's costumes for Jinju Sword dance (hat, handkerchief, sword))
명인실 전시실 전경 이미지
명인실 전시실 전경(View)
명인실 전시실 전경 이미지
명인실 전시실 전경(View)
명인실 전시실 전경 이미지
명인실 전시실 전경(View)
명인실 전시실 전경 이미지
명인실 전시실 전경(View)

체험실

물체의 두께·길이·장력에 따라 음높이는 어떻게 달라질까요?
악기를 만드는 재료에 따라 음색이 달라지기도 하나요? 소리 나는 원리에 관한 여러가지 궁금증을 풀어드립니다.
내 마음대로 만들어 듣는 풍류, 주사위 게임으로 만들어보는 산조합주 등
소리로 꾸려진 놀이터에서
마음껏 놀고 마음껏 들어보세요.

이전
다음
체험실 전경 이미지
체험실 전경(View)
체험실 전경 이미지
체험실 전경(View)
체험실 전경 이미지
체험실 전경(View)
체험실 전경 이미지
체험실 전경(View)
체험실 전경 이미지
체험실 전경(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