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음악총서

7. 북한의 민족가극

고상미·안경모·이성곤·전영선·전영선·정혜진·천현식·최유준·한룡길지음, 국립국악원 엮음, 『한민족음악총서7: 북한의 민족가극』, 서울: 국립국악원, 2019.


머리말 |김희선|    04

01  북한 민족가극에 대한 이해 |천현식|
머리말    13
사회주의 미학과 현실의 이야기    14
사실주의 음악극과 감정훈련    14
공연장과 현실사회의 일체화    15
맺음말: 민족문화 중심의 민족가극 <춘향전>    17

02  북한 민족가극 창작 방향과 특성: 대본을 중심으로 |전영선|
머리말    23
혁명가극 <피바다> 이전의 민족가극 창작 양상    24
민족가극의 개념 정립과 전개 양상    27
혁명가극 <피바다> 이후의 민족가극    48
맺음말    63

03  ‘<피바다>식 민족가극’ <춘향전>의 음악에 대하여 |최유준|
머리말: ‘쉬운 음악’과 음악재료의 균질화    69
민족가극 <춘향전>의 음악극적 장치    71
주제가의 배치와 서사적 구조    78
맺음말: 북한음악의 거꾸로 선 근대성    86

04  북한 민족가극 성악의 전통성: <춘향전>을 중심으로 |고상미|
머리말    91
북한의 민족성악    93
창극 <춘향전>의 역사    115
1964년 <춘향전>    118
1988년 <춘향전>    125
맺음말    132

05  ‘<피바다>식 민족가극’ <춘향전>에 체현된 무용의 특징|한룡길|
머리말    137
가극무용의 형성토대    138
민족가극 <춘향전>의 무용장면들에서 체현된 예술적 창조성    140
가극무용의 특징    148
맺음말    151

06   북한의 민족가극 <춘향전>에 나타난 연극미학적 특징|이성곤|
머리말    155
민족가극 탄생 배경: 조선민족제일주의    160
민족가극 <춘향전>의 ‘기본핵’: 봉건적 신분제도의 반동성    165
역사발전의 주체, 노동하는 서민들    170
‘<성황당>식 연극’의 연기술과 민족가극 <춘향전>    174
형식적 창작원리: 다장면 구성형식과 흐름식 입체무대, 그리고 ‘암전’의 발견    190
맺음말    196

07  ‘<피바다>식 가극’ 무대미술의 특징과 민족가극 <춘향전>으로의 계승양상 |안경모|
머리말    201
‘<피바다>식 가극’ 무대미술의 특징        203
민족가극 <춘향전>으로 계승된 ‘<피바다>식 가극’ 무대미술    233
맺음말    252

08   재일 조선예술인의 가극 전승사: 성악가 정호월의 구술을 중심으로 |정혜진|
머리말    259
초기 재일 조선예술단의 공연 양상    261
재일 조선예술의 획기적 발전    265
금강산가극단의 결성과 귀국 후의 활동    276
맺음말    282
부  록    286

참고자료        291
지은이 소개    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