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행사

국악 타악의 혁명 공명 후기

내가 과제로 국악을 보고 리뷰를 쓰고 제출 하라는 과제를 봤을 때 처음 느낀 감정은 어디서 국악을 보고 이 지루한 걸 어떻게 다 볼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실제로 나의 고향은 판소리로 유명한 고창이다. 거기에 있으면 판소리든 국악이든 쉽게 접할 수 있었고 또 학교에서 공연장 까지 가까워 대체 수업으로 보러 간 적이 많았다 하지만 서양식 악기 소리에 길들여진 요즘 학생들이 듣기에는 국악, 우리나라 악기 소리는 매우 지루하고 진부해 보였다. 주변에 친구들은 공연이 지겨워 도망가기도 했고 그 자리에서 졸기도 했다. 이런 경험들이 있던 나에게 공명이란 이름을 가진 국악 팀은 크게 달랐다. 기본의 국악의 형태를 유지했지만 사용 되는 악기로 기타도 있고 드럼같은 역할을 하는 악기와, 본인들이 대학 시절 직접 대나무를 갈아서 만든 '공명'이란 악기로 무대를 꾸몄다. 또한 연주 하는 사람은 겨우 네 사람 뿐이었지만, 나오는 소리는 풍부해 귀가 쉴 틈이 없었다. 여태 지루하고 어려운 국악만 들어왔던 나로써는 이 공연을 보고 '이런 것도 국악인가?' 라는 의문을 가지긴 했지만 신나는 분위기 속에서도 계속 느껴지는 우리나라만의 한 맺힌 소리, 슬픈 감정이 담긴 소리가 중간 중간 들려 이질감이 들지도 않았다. 또 그동안 봐왔던 국악과 다른 점은 조용한 분위기가 아니었다. 내가 본 공연들이 특히나 조용한 무대였는지는 몰라도 '공명'의 국악 공연중 에도 관객들과 소통하고 춤도 추고 설명도 해준다. 특히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은 뮤지컬 같은 분위기에 쇠파이프 하나를 들고 비범하게 들어와 드릴로 구명을 뚫면서 노래가 시작 되는데 그 쇠 파이프를 피리 삼아 연주를 한 것이 가장 기억에 남고 충격을 받았다. 구멍을 뚫는 위치 마다 소리가 다 다를텐데 자기가 원하는 소리를 내기 위해 구멍을 뚫는 위치들을 미리 다 준비했고 도 즉석에서 연주를 한다는 게 너무 신기했다. 그 공연 중에 무대에 올라온 꼬마 아이에게 쇠 파이프 악기를 주는 것을 보고 관객과의 소통, 팬 서비스 또한 대단하다고 느꼈다. 이들이 앵콜 곡까지 포함해 총 10곡의 노래를 선보였는데 난 그 중에서 '공명유희'란 곡과 우리나라 민요인 '아리랑'을 연주한 게 가장 기억에 남는다. 특히 공명유희는 직접 만든 악기인 공명을 이용해 대나무의 길이를 이용해 음의 높낮이를 조절했고 불기도 하고 두드리기도 하면서 소리를 냈다. 얼핏 들으면 단순해서 노래의 구성 조차 가볍지 않겠냐 라는 생각을 할 수도 있는데 노래 자체도 흥겹고 추임새도 들어가 졸린 국악이 아니라 어깨가 들썩일 국악이었다. 전체적인 감상을 하자면 이번에 국립국악원에서 들은 공명의 무대는 기존의 국악의 틀은 유지했지만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즐거움을 남겨준, 내 국악에 대한 인식을 바꿔준 소중한 공연이었다.
댓글등록 현재 0자 (최대 1,000자)